2016년 6월 5일 일요일

황우석 관련 소식?

나는 궁금했다.
팟캐스트 황우석 10년 취재기에 의하면, 진실은 황우석 박사가 매우 억울한데,
그에 대해 비난과 공격을 계속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이 사람들 중에는 유명한 사람도 몇몇 있어 보였고, 황우석 비판의 내용이나
관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제대로된 황우석 비판은 여기일 듯..
이제 찾아낸 곳이다.
내가 재미있게 들은 적이 있는 팟캐스트 방송 '과학하고 앉아 있네' 자매 시리즈인
'과학같은 소리하네'의 한 회에 나오셨던 김우재님의 글들이다.
https://medium.com/science-scientist-and-society-korean/황우석과-초파리-939c2aae514b#.qa395ef4c

이분이 위키에 기록을 정리했다고 하는데, 링크를 따라가 봤지만, 해당 페이지가 없어졌다! ( 여기가 위키피디아 의 한 페이지인데, 그냥 사고로 없어졌다고 하기엔 미심쩍다.)
한글 기록인 나무위키도 많이 변화가 생겼다. 위키피디아도 어딘가에 글이 남아 있을지?

아래가 아마도 개인적인 글들의 모음인듯... 글의 수가 매우 많다.
https://madscientist.wordpress.com/2014/03/05/stap-cell을-만드는-상세한-프로토콜/

http://heterosis.net

아래는 시골피디님의 블로그 글이다.
http://blog.hani.co.kr/nopd/20241

Creative Geneticist 

김우재님이 불쾌한 글이었다는 내용을 남긴 문제의 시골피디님의 글이다.
댓글에는 김우재님의 해명 댓글과 시골피디님의 답글도 있다.
http://blog.hani.co.kr/nopd/20205

시골피디님은 호칭을 문제 삼았지만,
어쨌든 원래 투고되었던 김우재님의 pressian 투고기사 내용 자체는 매우 비판적인 것이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95289

--
나무위키에 있는 글이 황우석 박사에게 비판적이면서도 쌍방이 내세우는 모든 사실을 다 적은 글들을 대표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나의 황우석 10년 취재기'에서 내세우는 음모론이
에 처음 여기에도 적히기 시작했다.

그 이후,
에서는 사라졌다가, 그 직후인 (r59)에 잘 정리된 모습으로 다시 적혔다.

에 내용이 보강되었다.

그런데, 그 한참 후에 [음모론] 부분이 통째로 삭제되었다.
이 글의 편집 역사에서 약 2명 정도가 편집에서 소송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대결한 기록도 보였다. 서로 몇개의 글을 바꾸고, 다시 돌려놓고를 몇번 겪었다. 어떤 편집자는 사유가 적혀 있지 않은채로 차단되었다는 기록도 있었고, 서로 대결했던 편집자들은 아이디가 취소되었다는 기록이 나왔다.
나무위키의 편집이 이런 상황이라면, 위키피디아의 편집도 이런 비슷한 일이 있지 않았을지 생각된다.


2016년 06월 01일
제목: "황우석 귀환" 줄기세포 10년 회고록(육성강연:한중미 글로벌 바이오 허브)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104756

https://www.youtube.com/watch?v=koTcPZUQwXQ

==========
매머드 복제

2012년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_rya6Jhzlzw&lc=z12wedw4foj3upnu5235zfzg3wqbfvkbs04


황우석 기여와 관련한 내용.
https://www.youtube.com/watch?v=xmlpSOHc5A4

_(구글:  TEDxDeExtinction )_
2015년
TED
https://www.ted.com/talks/hendrik_poinar_bring_back_the_woolly_mammoth?language=en

==

DeExtinction
x = independently organized TED event

https://www.ted.com/tedx/events/7650


_(구글 검색:  NGC mammoth clone project )_

2014년 영국 telegraph (한국인 과학자들에 의해 Woolly-매머드가 복제될 지도 모른다.)
http://www.telegraph.co.uk/news/earth/wildlife/11234151/Woolly-mammoth-could-be-cloned-by-South-Korean-scientists.html

2013년

http://www.livescience.com/27930-images-deextinction-species.html

10개의 관련 페이지가 나오고 _( NEXT )_ 를 클릭해서 _( 9 of 10 )_ 페이지에서
가장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내용을 발견했다.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covers de-extinction in its April 2013 issue.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lso hosted a forum on the subject, TEDxDeExtinction, in Washington, D.C., on March 15. - See more at: http://www.livescience.com/27930-images-deextinction-species.html#sthash.BrBztn9h.dpuf

여기에서 위의 2015년 검색어인 _( TEDxDeExtinction )_ 을 찾았다.

--
--
--
2016-0701 갱신..

뜻밖에 인기 팟캐스트 방송인 '이이제이'에 (황우석 사건과는 관련 없는) 다른 주제 때문에
황우석 사건을 결정적으로 제기한 경력이 있는 MBC 피디수첩의 그 당시 제작자(?)인
최PD께서 출연하셨는데, 여기에서 그저 소개정도로 약간 나온 황우석 사건 내용 때문에,
황우석 지지자들이 항의를 제기하자, 이작가는 이것이 싫었는지, 그 다음 방송에서
황우석 사건을 아주 많이 다뤘고, 여기에는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교수인
우희종 박사가 나와서 결정적으로 황우석을 비판하는 견해를 밝히고, .. 그리하여 내가 듣게 되어서 이 관심을 가지게 된
시골피디의 팟캐스트 방송에서도 반박 방송을 하고,
(허, 참나...) 서로 관련이 없는(?) 두 방송이 서로 얽히게 되었다.
그런데, 우희종 박사의 이름이 웬지 낯이 익은 듯하여 예전의 페이스북을 뒤져보니,
내가 시골피디의 방송을 처음 듣게 된 직후,
페이스북에서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의 퀀텀에너지 논문 하하하" 라는 비판 내용인
웬 이상한 퀀텀 에너지를 이용한 사이비라는 인상을 풍기는 섬유 개발과
상용화 기사에 등장한 것이, 바로 여기(최근 이이제이 방송(2016년7월1일 현재) )에서
황우석 박사를 비판한 우종천 박사이다. 이분도 서울대 수의학과라는 공통점(?) 때문에,
특히 물리학과 학생들에게 사이비같은 인상을 진하게 느끼게 만드는 '퀀텀에너지' 관련 기사
에서 같이 엮여서 똑같은 사기꾼 취급을 받을 뻔했는데, 시골피디의 방송을 들은 사람이
말렸고, 잠잠해진 글타래에 얽혀있다.
https://www.facebook.com/groups/ko.physics/permalink/1030931536994313/
이 무슨 악연(아니면 인연)일까?

더우기 _(구글검색
우희종, 양명기석과 양자에너지 조절 조치와 Quantum Energy 융합섬유가 미치는 면역적 기능분석 보고
)_ 에서 나오는 내용에 의하면, 정말로 이 논문이 발표가 된 것처럼 보도된 기사가
몇개 뽑혀 나온다. 그러나, 그 기사에 같이 붙어 나오는 사진은 무척 어설퍼 보인다. 발표가 된 장소도 특정 기업의 구내에서 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다지 제대로 된 발표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 발표에는 계속 그 사장이라는 사람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듯하다. 그 사장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기사를 썼던 기자는 어떤 의도(?) 또는 경위로 기사를 쓰게 된 것인지 궁금하다.

-------
16년 10월 20일
황우석에게 많이 미련이 남은 것 같다.
팟캐스트를 듣고 있는데, 계속 궁금하다. 오늘은 
시골피디 저널리즘 블로그를 찾아 봤다.
http://blog.daum.net/pd-diary
http://blog.hani.co.kr/nopd/
나무위키 - 황빠

http://rock1209.tistory.com/1631
http://www.goodfunding.net/gf/project_view&prj_code=15020020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