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일 수요일

어쩌다 마주친 그대 2 - xfce Desktop Session 초기화/복구 하기

 update를 하다가 잘못 되어서 xfce desktop session에서 X window 테두리 등이 사라져서 창을 옮기지도 못하고, xterm 또는 xfce-term 같은 것을 실행해도 키보드 입력 focus 받기가 작동하지 않아서 타이핑을 해도 입력이 안되고, 오직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붙여넣기] 기능으로만 입력하는 것이 작동하는 상황에 빠졌다. 전체 화면 아랫 줄에 메뉴 등의 taskbar도 왜 그런지 모르게 사라지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으로만 root 메뉴를 띄울 수 있었다. 다른 프로그램을 동작 시켜도 아까 썼듯이 창의 위치를 조정할 방법이 없어서 미칠 지경이었다. 

[xfce session]을 시작할 때에 나오는 session-관리자에서 이전에 쓰던 session상태들의 목록이 나올 때에 [+|-] 버튼 중에서 [-]버튼을 눌러서 기존에 저장된 session을 모두 없앤다. 그 직후에 이번에는 [+]버튼을 눌러서 새 session을 시작한다. 새로 시작할 session 이름을 넣으라는 요구가 나온다. 이 때에 적당한 아무 이름이나 넣고 새 session을 시작하면, 망가진 session말고, 초기화된 새로운 session이 시작되면서 복구가 된다 ! 

살아났다!

-

-

 

2025년 4월 1일 화요일

어쩌다 마주친 그대 ice-wm theme hangul problem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지만, ( openSuse Slowroll ) upgrade 과정 중에 나름 중요한 설정으로 보이는 부분에 버전 충돌 현상이 있었고, 역시나 잘 모르는 무식한 자였지만 나름대로 아는 척하고, 서로 충돌 나는 것은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했더니, 망가져서 원래의 XFCE desktop 환경이 없어지고,  ice-wm 환경으로 바뀌어 버렸다. 메뉴에 아무런 한글 명칭을 한 항목들이 안 보여서 한글 글꼴 설정이 ice-wm 환경에서 뭔가 잘못되었을 것으로 나름대로 추측하고 나름대로 노력을 해봤지만, 역시 문외한이 이미 살짝 망가진 환경에서 어찌하여 더 망가뜨리게 될 지는 잘 알고 있다. 잘 모르는 방식으로 한글 설정(특히 한글 글꼴 설정)에 문제가 생긴 듯했지만, 어쩔 수 없다. 안 보이는 메뉴 항목들이 너무 많아서 어찌할 엄두를 못 내고 있던 차에 우연하게도 [시작? 버튼] > 을 눌러서 나오는 theme 설정 기능 중에서 한글이 표시되는 theme 설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글이 기본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theme 설정에는 아마도 menu에서  글꼴을 설정하는 항목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ice-wm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는 곳 목록을 만들었다.

~/.icewm/

 /etc/icewm/

/usr/share/icewm/

특히 마지막(세번째) 위치에서는 

/usr/share/icewm/themes/

위치에 현재 사용되는 theme 설정 파일들이 모인 directory 가 있었다. 이것들 중에서 한글 메뉴가 

나름 잘 보이는 것들은,

CrystalBlue/ ,  Infadel2/ 및 그 sub-theme  Ergonomic/  ,   Overloaded/ ,,, NanoBlue/

이것들 중에서도 종료 메시지 상자까지 한글 글자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오직 NanoBlue/ 한가지 뿐이었다. 이 theme에 지정된 font 들을 알아봐야 겠다.

  ---

한글 메뉴 항목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theme에는 놀랍게도 font 지정 항목이 없었다. 말 그대로 theme와 관계없는 default 글꼴이기 때문에 한글이 표시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인데, 이 default 글꼴은 무엇일지 궁금했다.  

_(  /etc/icewm/prefoverride  )_파일에

#  Name of the menu font.
# MenuFontName="-misc-dejavu sans-bold-r-normal--10-*-*-*-*-*-*-*"

라는 항목이 존재했다.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theme 의 하나인 Helix/ theme의 설정에는 이 항목이 지정되어 있는데,

MenuFontName="-b&h-lucida-medium-r-*-*-12-*-*-*-*-*-*-*"
라고 되어 있고, 한글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는 theme 중에 하나인 NanoBlue/  theme 에 지정된 이 항목은

# Menu font
MenuFontName="-*-sans-medium-r-normal-*-*-90-*-*-p-*--*-*"
MenuFontNameXft="sans:size=9:medium"

라고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dialog window와 관련된 글꼴 설정이 있는지 찾아보니, 그다지 딱 들어맞지는 않을 것으로 느껴지는

# Dialog Label font
LabelFontName="-*-sans-medium-r-normal-*-*-120-*-*-p-*--*-*"
LabelFontNameXft="sans:size=12:medium"

항목이 지정되어 있다. 이것이 확신이 들지는 않지만, 종료 대화상자(dialog box window)를 제대로 표시되게 하는 설정인 듯하다.
메뉴에는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만 종료 dialog에 한글 메시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theme 의 하나인 CrystalBlue/ 에는
글꼴 설정(일부분)이 아래와 같다.
.. (이전 생략)
#Fonts
TitleFontNameXft=                       "sans-serif:size=8"
Status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Menu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NormalTaskBar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ActiveTaskBar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ListBox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ToolTipFontNameXft=                     "sans-serif:size=9:bold"
QuickSwitchFontNameXft=                 "sans-serif:size=10:bold"
ClockFontNameXft=                       "sans-serif:size=8:bold"
..(이하 생략)

역시 LabelFontName 을 지정하는 항목은 없다.
이 글을 올린 다음에 나중에 다시 알아봐야겠다.

-

-

 

 

2025년 2월 4일 화요일

Pied piper

pied 흰색과 검은색이 교차하는
pipe 피리  --er 부는 사람.
--
독일 hameln 지방의 전설/민화이고 그림형제의 동화집에 나오며 유명해졌다. 이런 이야기를 밑바탕에 깔면, ..
pied 는 (알록달록한 )_ 이라고 해도 될 듯하며
알록달록 피리쟁이(!) 쯤이 적당할 듯?
--
-